본문 바로가기
사회학(sociology)

사회집단과 조직

by twinklesorry 2024. 2. 8.

집단이란 결국 인간이 모여서 만드는 집합체이다. 인간은 집단 내에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여 자아정체감을 얻으며 집단간의 관계 속에서 만족과 불만족을 얻기도 한다. 

 

1. 사회집단의 정의

 사회집단(social group)이란 단순히 어떤 규칙적인 토대 위에서 서로간에 상호작용을 하는 일련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단순히 같은 시간과 장소에 있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집합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사회집단이란 사회관계의 맥락안에서 사람들이 융합되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사회집단의 구성원들은 소속집단이 채택한 규범이나 행위기준을 따라 표준화된 양식으로 상호작용한다. 

2. 사회집단의 특성과 분류

1) 사회집단의 특성적 분류와 기준

 사회집단의 특성에 따른 분류방식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우선 가장 고전적인 분류방식은 집단의 결합양식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따른 것이다. 어떤 집단에서는 극히 기계적이고 분리와 대립의 가능성을 내포한 관계형식이 발견되는가 하면, 또는 보다 화합적이고 일체적인 관계가 되는 본질적 융합관계도 있다. 퇴니스(F. Toninies)는 이것을 게마인샤프트(Gemeinschaft)와 게젤샤프트(Gesellschaft)라는 개념으로 정리하고 있다. 

 게마인샤프트는 집단성원들간의 자연적이고 정서적인 결합에 의한 상호결합을 말한다. 가족, 촌락, 교회 등이 그 예로서 집단성원은 넓은 의미에서 동질적인 집단이며 1차적 관계를 통해서 맺어지고 구성원들은 운명적으로 결합한다. 이에 반해 게마인샤프트는 선택적 의지에 의한 의도적이고 계약적인 결합을 이룬다. 게젤샤프트속에서 인간관계는 계약을 중시하고 현실적인 이해관계를 추구하는 일종의 결사체와 같은 성격을 갖는다. 

2) 사회집단의 분류

 (1) 구조적 집단: 문화적 특징에 의해 범주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조직화의 정도는 미약한 집단

 (2) 기능적 집단: 구조적 집단의 성원을 심리적 상호작용을 통해 연결하고 있는 대중·공중·군중 등

 (3) 사회적 집단: 조직을 가지고 있는 집단

3) 사회집단의 종류

 (1) 원초집단과 2차집단

  원초집단이라는 개념은 쿨리(C.H. Cooley)에 의해 발전된 개념으로 친밀한 대면적인 결합과 협동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원초집단의 성원관계는 비공식적(informal)이며 친밀(intimate)하고 인간적(personal)이므로 그 규모는 작다. 

 원초집단이 자발적이고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것이라면 2차 집단은 특정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그 목표의 달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집단이다. 이 집단에서는 구성원간에 2차적 관계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2차적 관계에서는 인간관계가 목적합리적이고 인위적이며, 사무적이고 일시적이다. 

 (2) 내집단과 외집단

  한 인간이 집단내의 사람들과 종류의식을 느끼며 집단에 대한 강한 애착심을 가질 때 이러한 집단에의 소속감은 구성원 서로에게 우리라는 집단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이러한 집단을 내집단(in-group) 혹은 우리집단(we-group)이라고 한다. 반면에 외집단은 우리의식을 느낄 수 없는 집단으로 한 개인이 집단 내에서 강한 소속감을 공유할 수 없는 집단을 말한다. 이러한 집단은 우리집단과 대비되는 용어로 그들집단(they-group)이라고도 한다.

 (3) 준거집단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이나 태도, 가치 등을 규정하고 행동의 지침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다른 사람이나 집단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는다. 특히 어느 한 개인이 특정한 상황 속에서 자신의 행위를 판단하고 결정을 내리며 그 행위에 대해 후에 평가를 내릴 때 모델로 삼게 되는 집단을 준거집단(refrerence group)이라 한다. 

 (4) 소집단

 소집단이라함은 두 사람 이상의 인간이 정해진 사회적 행동을 행하는 단위로서의 최소단위에 해당하는 집단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사회조직이나 집단 중에서 상호작용의 밀도를 가장 높게 가진 행동단위라고 할 수 있다. 

 (5) 자발적집단과 비자발적집단

  집단에 가입하거나 탈퇴하는 것이 완전하게 자유의사로 이뤄질 때 이런 형태의 집단을 자발적 집단(voluntary group), 그러나 개인이 자기의 의지나 선택에 의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어떤 집단에 속하게 되는 경우, 그 집단을 비자발적 집단(involuntary group)이라고 한다. 

 (6) 치료집단과 조우집단

  공통의 불행이나 문제를 함께하는 사람들로 구성되며 서로 의지하고 측은히 여기는 마음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러한 집단을 치료집단(therapeutic group)이라 한다.  조우집단(encounter group)은 많은 유형의 욕구를 지닌 사람들로 이루어지는데, 이들의 목표는 보다 객관적이고 보다 자의식(self-awarness)적인 수준에서 상호신뢰를 통하여 그들 자신을 이해하는 집단이다. 

3. 집단의 구조

 1) 공식구조

 공식구조(formal structure)는 집단 또는 조직 내에서 성원의 역할을 결정하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규칙이나 규제, 그리고 조건들에 의해 규정된다. 공식구조는 정부나 군대와 같은 미리 규정된 절차에 따라 명령과 책임감 등을 가지고 있는 공식집단이나 공식 조직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비공식구조

  공식구조는 공식적인 서열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특권이나 인간적 관계에 의존하는 비공식구조(informal structure)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비공식구조가 갖는 유리한 점의 하나는 조직의 공식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변화하는 상태에 따른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다. 

4 . 현대사회와 관료제

관료제는 시청이나 군청과 같은 정부기관, 은행이나 기업체의 상하서열관계 등과 같은 복합적이며 형식적인 조직체를 의미한다. 

 1) 현대사회에서 관료제의 등장배경

 공식조직이 역사발전의 중요한 현상으로 등장한 것은 산업혁명 이후의 일이었다. 이는 산업혁명을 통한 기계화의 성공으로 생산기술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이제 발전된 기계적 생산력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작업을 조직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사회는 비로소 공식조직의 시대로, 더 나아가 전문화된 관료제의 시대로 접어들게 된 것이다. 

 2) 관료제의 특성과 비판

  (1) 전문화 : 관료제 내에서 개인은 자신에게 할당된 좁은 범위의 한정된 업무만을 수행한다. 

  (2) 권위의 위계질서: 조직의 위계서열에 있어서 각각의 지위는 그에 합당하는 권력이나 특권을 주는 동시에 특정한 책임과 의무를 함께 제공한다. 

  (3) 비정의적 대우: 관료제 내에서의 각 개인은 그들이 차지하고 있는 특수한 지위에 상응해서 튀급받는다.

  (4) 기술적 자격과 업적제도: 한 개인이 지위에 요구된느 최소한의 자격을 갖추지 않는 한 그는 고용되지 않으며 관료제 내에서의 임명과 승진은 업적에 따른다. 

  (5) 성문화된 규칙과 규제: 조직과 그 조직내에 근무하는 사람의 행동은 성문화된 규칙과 절차의 통제를 받는다. 

3) 관료제의 사회적 의미: 기능과 역기능

 (1) 관료제의 기능적 측면

  ①고도의 생산성 ② 업무의 안정과 지속성 ③ 대인관계의 공정성

 (2) 관료제의 역기능

  ①관료적 퍼스낼리티 ② 의식주의 ③ 전문직업윤리 ④목적의 전이

'사회학(soc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탈행동과 사회통제  (0) 2024.02.15
인구와 사회  (1) 2024.02.14
가족과 사회  (0) 2024.02.06
퍼스낼리티와 사회화  (1) 2024.02.05
문화와 사회  (0) 2024.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