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sociology)

사회변동과 사회발전

by twinklesorry 2024. 2. 24.

  오늘날의 사회변동은 그 속도에 있어서 뿐 아니라 변화의 폭에 있어서도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사회전반의 영역에 걸쳐 매우 포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 속에 살아가는 인간의 생활양식 전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개 사회변동은 인간의 삶을 윤택하고 풍요롭게 하는 방향을 진행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어떤 사회변동은 전혀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요소로 등장하기도 한다. 

                                                                                                         작가 rawpixel.com 출처 Freepik

 

1. 사회 변동의 정의

 사회 변동은 사회질서와 함께 사회의 본질적인 성격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즉 사회의 변동은 사회의 본질적인 성격, 속성이기도 하다. 사회변동은 시간이 지나며 사회의 기관, 구조, 가치관, 규범의 변화를 가리킨다. 그러나 사회변동의 개념은 이러한 시간적 요소만이 아니라 몇 가지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한다. 즉 변동의 규모가 대규모인가 소규모인가 하는 점과 그것이 단지 양적인 변동인가, 사회의 내부에 단지 부분적인 변화만 가져오고 그 질적인 측면 즉 그 기초에는 변화가 없는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사회가 완전히 뒤바뀌고 새로운 것이 출현하는 질적 변동인가 하는 점, 그리고 변동이 급격한가 아니면 점진적이고 완만한가의 요소도 생각해봐야 한다. 사회변동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성을 지닌다. 첫째, 사회변동은 모든 사회요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변동의 정도는 다양하다. 둘째 사회변동은 의도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우연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셋째, 사회변동의 결과는 종종 논쟁의 요소를 제공한다. 넷째, 사회변동은 다양한 결과를 가져온다. 어떤 사회변동은 오랫동안 지속되는 데 반해 어떤 사회변동은 유행처럼 짧은 기간 동안만 지속되었다 사라지기도 한다.

2. 사회변동의 요인

(1) 인위적 요인

 사회 변동의 인위적 요인은 개인이나 기관이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취하는 의도적인 행동이다. 이에는 정부 정책, 법률, 기술의 발전, 경제 개발 노력 등이 포함된다.

(2) 문화적 요인

 문화적 요인은 사회 내 신념, 관습, 전통, 문화적 실천의 변동을 포괄한다. 글로벌화, 문화 교류, 문화 확산이 문화적 변동에 기여한다.

(3) 사회 구조적 요인

 사회 구조적 요인은 가족 구조, 교육 제도, 정치적 조직, 경제 제도 등 사회 제도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상호 작용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4) 인구 및 환경적 요인

 인구의 증가, 고령화, 이민 패턴 등 인구 통계적 변화가 사회적 역학에 영향을 미친다. 기후 변화와 자원 부족 등 환경적 요인도 사회 변동을 촉진한다.

3. 사회변동의 이론

(1) 진화론적 이론

 사회 변동의 진화론적 이론은 사회가 단계적으로 발전하며, 단순한 형태에서 복잡한 형태로 진화한다는 가설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인 진화적 변동을 강조한다.

(2) 기능주의 이론

 기능주의는 사회를 상호 관련된 부분의 시스템으로 간주하는 이론으로 사회 변동은 새로운 조건에 적응하면서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본다.

(3) 역사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은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중요한 개념으로, 사회 변동은 계급투쟁이나 생산 수단 등의 경제적 요인에 의해 주도된다고 주장하며 경제적 기반의 변동이 사회의 상류 구조의 변동을 가져온다고 본다.

4. 사회 발전

(1) 발전의 개념

 사회 발전은 개인과 공동체의 생활 조건, 복지, 그리고 기회의 개선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측면을 포함한다.

(2) 근대화의 의미

 오늘날 발전 개념만큼이나 우리에게 익숙한 용어로 근대화(modernization)의 개념을 들 수 있다. 근대화는 일반적으로 선진산업사회로 변화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근대화라는 단어 속에 포함되는 내용은 다양한데 정치적 근대화도 있을 수 있고, 사회적 근대화 또는 퍼스낼리티의 근대화 등 모든 분야에서 있을 수 있다. 서구가 지난 2~3세기 동안에 점진적으로 거쳐 왔던 근대화의 경로를 제3세계의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불과 몇십년간에 이루고자 추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대화가 곧 서구화(westernization)인식하게 되어 지역의 전통적 세력과의 갈등을 첨예하게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면서 비서구 후진사회가 따라가야 할 길이 반드시 서구 근대화의 경로와 동일한 것이어야 하느냐에 대해 많은 의문과 비판이 제기되면서 수렴이론과 종속이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① 수렴이론

 사회학자 커어(C. Kerr)는 오늘날의 산업사회가 서로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세계는 총체적 산업화의 시대라는 새로운 시대로 진입했으며 모든 곳에서 속도가 빠르든 느리든간에 사람들은 산업화의 길로 행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② 제3세계론: 종속이론

 종속이론은 오늘날 세계 각국의 발전과 저발전의 역사성을 강조하고, 그 원인을 세계자본주의 체계 발전의 역사적 계기에서 찾고자 하는 역사적 접근 방법을 강조한다. 근대화 이론이 발전된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를 구분시켜 놓고 선진 자본주의 국가를 저개발국의 발전 모델로 상정하는데 반해서, 종속이론은 양자를 서로 분리된 현상으로 보지 않고 세계자본주의 체제의 전개라는 동일한 세계사적 과정의 양 측면으로 본다. 이들의 주장은 국가간의 경제적 상호의존관계에서 일부 국가들은 다른 나라에 지배·착취를 통해서 스스로 경제적인 팽창을 달성할 수 있으나, 나머지 대부분의 국가들은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 지배되는 종속상태에 빠져들게 됨으로써 후진국의 상태로 남아서 착취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5. 한국 사회의 발전과 현대화

(1) 해방 후의 한국 사회

 1945년 일본의 식민 통치에서 해방된 후, 한국은 급격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경험했다. 한국 전쟁(1950-1953년)은 한국 사회의 궤적을 더욱 세게 만들었다.

(2) 1960년대 이후의 한국 사회의 현대화

 1960년대는 한국의 산업화와 경제 성장의 시작을 알렸다. 정부는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며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다.

(3) 1980년대 이후의 변화의 새로운 추세

  1980년대는 한국에서 민주화 운동이 활발해져 정치적 자유와 사회적 개혁이 진전되었다. 

(4) 2000년대 이후의 한국 사회

 2000년대에는 한국은 경제 발전을 지속하며 기술 혁신의 글로벌 선도국이 되었다. 사회적으로는 환경 지속 가능성, 남녀 평등, 사회 복지에 초점이 맞춰졌다.

(5) 사회 변동의 미래 

 앞으로, 한국 사회 변화의 미래는 인구 변화, 기술 발전, 글로벌화, 사회적 불평등 해소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 가능한 발전, 사회 포용성, 문화 보존 등이 주요 관심사로 포함될 수 있다.

 

'사회학(soc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와 사회  (1) 2024.02.27
종교와 사회  (1) 2024.02.26
산업화와 노동문제  (0) 2024.02.23
도시화와 도시발전  (2) 2024.02.18
농촌 사회와 변동  (0) 2024.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