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사회에서 도시는 한 사회의 생산력이 공간적으로 통합된 장소일 뿐만 아니라 소비와 유통을 실현시키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출처 Freepik
1. 도시화
도시화(urbanization)는 도시의 성장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그것은 도시성장을 어떠한 입장에서 정의하느냐에 따라 상이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도사화는 도시지역으로의 인구집중과정, 즉 도시인구비율의 성장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에 이르러 도시의 성장과정을 단순히 인구의 성장만으로 설명한다는 것은 매우 협소한 인식이 되고 말았다. 도시의 성장은 바로 산업화의 성장과 맥을 같이하였다. 그리고 산업화는 도시를 복잡한 사적· 정치적·경제적 잉여의 지리적 집합장소로 만들었다. 더구나 이른바 세계화(globalization)의 진행에서 '세계도시'라는 개념이 나오면서 일국적 차원이 아닌 세계적 차원에서 도시의 역할과 위상이 검토되기도 할 정도로 도시에 대한 인식은 복잡해지고 있다.
2. 교외 도시화와 거대 도시화
1) 교외 도시화
우리나라 서울시의 성장과정에서 보듯이 특정 도시지역에서 도시화가 일정기간 동안 지속되면 그 도시는 많은 사람들과 여러가지 사회적 기능의 집합으로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의 해결책으로 도시 정부가 흔히 취하는 방법이 행정구역의 확대이다. 그러나 이에 관계없이 다수의 사람들이 복잡한 도심지역(downtown)을 벗어나 교외지역으로 확산되어 나가는 교외도시화 현상(suburbanization)이 나타난다.
2) 거대도시화
교외지역의 중소도시 및 비농업지역이 크게 성장하여 기존의 중심도시와 더불어 인구규모가 100만이상이 되었을 때, 그 도시권을 거대도시(metropolis)라 부른다. 그러나 거대도시의 성격은 인구규모만으로 규정되는 것은 아니라, 사회학적 의미에서의 거대도시는 기능의 분화, 분업의 발달, 독특한 문화의 형성 등을 전제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거대도시들이 성장해 나가는 과정중에 상호 물리적 접촉이 빈번히 이루어지면서 거대한 도시지역(urban region)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시지역을 통칭하여 초거대도시권(megapolis)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 뉴욕시르 중심으로 뉴잉글랜드 남부지역에서부터 버지니아 북부지역에 이르는 약 400마일의 방대한 해안지역은 행정적·정치적·경제적으로 독립된 수십개의 도시와 주변의 교외지역으로 세계최대의 초거대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3. 도시 생활 방식: 도시성
워스(L. Wirth)는 도시적 생활양식의 총체를 도시성(urbanism)이라는 용어로 개념화시켜 설명하였다. 워스는 도시를 '서로 이질적인 개개인들이 비교적 대규모로 밀집하여 영구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도시화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인구의 크기(인구규모), 인구밀도, 인구의 이질성 등 세 가지 인구학적 요인을 사용하였다. 그러면서 우선, 도시화의 결과로 인해 증가하는 인구규모는 공동체 내의 원초적 인간관계를 이차적 관계로 변화시킨다. 다음으로, 도시지역에서의 인구밀도의 증가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과의 물리적 접촉을 증가시키는 반면, 특정의 사람과의 접촉은 오히려 격감시킨다. 마지막으로 도시화의 결과 도시지역에서 나타난 인구의 높은 이질성은 도시 내부의 다양한 분화현상을 유발한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도시내부의 기능의 분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산업의 분화, 시장의 분화, 주거지의 분화, 계층의 분화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은 워스의 도시성에 대한 논의는 도시화의 결과로 야기된 도시인들의 생활양식의 복잡한 변화양태를 가장 효율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4. 도시 이론
도시 이론은 도시화, 도시 개발 및 도시 생활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학자들이 개발한 다양한 관점과 프레임워크를 포괄하고 있다.
1) 도시 지역의 구조적 변화 이론
① 도시 생태 이론
도시 사회학의 선구적인 인물인 버제스(E. Burgess)는 1920년대에 도시의 공간적 조직을 설명하기 위해 동심원 모델을 개발했다. 버제스에 따르면, 도시는 특정 토지 이용과 사회경제적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구역이 있는 중앙 비즈니스 구역에서 동심원 고리로 바깥쪽으로 성장한다.
또한 파크(R. Park)는 도시를 인간 인구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역동적인 생태계로 봄으로써 도시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을 강조했다. 파크의 연구는 도시 환경, 사회 구조, 인간 행동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탐구하는 도시 생태학 이론의 토대를 마련했다.
② 현대 도시 생태학 이론
호울리(A. Hawley)는 버제스와 파크의 연구를 바탕으로 도시 생태학 이론을 확장하여 인구 밀도, 사회 조직, 환경 적응과 같은 개념을 통합했다. 인간 생태학에 대한 그의 연구는 도시 인구가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고 수정하여 도시 성장과 발전의 패턴을 형성하는지 탐구했다.
2) 자본주의 도시 문제 이론
저명한 사회학자이자 도시이론가인 까스텔(M. Castells)은 정보, 자본, 노동의 글로벌 흐름으로 특징지어지는 현대 도시 풍경을 설명하기 위해 '네트워크 사회'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까스텔의 네오베버주의적 접근 방식은 도시 역학을 형성하는 데 있어 권력 관계, 사회적 네트워크, 문화적 정체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도시화에 대한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관점에 도전하였다.
선도적인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자인 하비(D. Harvey)의 도시화와 자본주의에 대한 연구는 자본 축적, 불균등 발전, 도시 구조 조정의 공간적 역학을 탐구하였다. 하비의 '강탈에 의한 축적' 이론은 소외된 공동체를 대체하고, 공공 자원을 사유화하며, 도시의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신자유주의 정책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인 르페브르(H. Lefebvre)의 '공간 생산' 이론은 도시 환경의 사회적 구성과 일상 생활을 형성하는 공간 관행을 탐구한다. 자본주의적 도시화에 대한 르페브르의 비판은 공간의 상품화, 도시 거주자의 소외, 지배적인 공간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을 강조한다.
도시지리학자인 스미스(N. Smith)의 '도시 전략으로서의 고급화' 이론은 노동 계급 공동체를 대체하고 도시 경관을 재구성하는 데 있어서 국가 주도의 도시 정책과 부동산 자본의 역할을 연구한다. 스미스의 네오마르크스주의적 접근 방식은 현대 도시의 도시화, 세계화, 계급투쟁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학(soci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변동과 사회발전 (0) | 2024.02.24 |
---|---|
산업화와 노동문제 (0) | 2024.02.23 |
농촌 사회와 변동 (0) | 2024.02.17 |
사회계층과 사회이동 (0) | 2024.02.17 |
집합행동과 사회운동 (1) | 2024.02.16 |